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 Buncheong Bottle with Inlaid Lotus and Scroll Design ,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 ]

요약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연당초 무늬의 분청사기 병. 1991년 1월 2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1년 1월 25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크기 높이 31.7cm 입지름 8.0cm, 밑지름 9.9cm

1991년 1월 2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1.7cm, 입지름 8.0cm, 밑지름 9.9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모양은 나팔처럼 벌어진 구연(口緣)에서 좁아진 목부위를 지나면서 서서히 팽창되어 동체 하부에서 팽배되었다가 다시 좁아져 높고 튼튼한 다리굽에 이르는, 안정감이 돋보이는 형태이다. 입부위에서 굽주위에 이르기까지 여러 곳에 둘 내지 세 줄로 백상감의 띠선을 넣어 전체의 면을 다섯 개의 문양대로 나누었다. 목 윗부위에 도식화된 당초문 띠, 목 아랫부위에 겹 연판(蓮瓣)무늬띠, 어깨부위에 여덟 잎으로 된 연판무늬띠, 굽주위에 겹 연판무늬띠를 각각 백상감으로 시문하여 종속무늬로 삼았다. 주문양대인 동체 중앙에는 세 곳에 연꽃을 시문(施文)하였으며, 각 연꽃은 줄기와 잎이 당초(唐草)처럼 전개 ·연결되며, 무늬의 여백은 백상감 우점(雨點)무늬로 메꾸었다. 특히 연꽃과 연잎의 윤곽선은 백상감으로, 내부 표현은 흑상감으로 처리하여 무늬를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

병 모양과 문양대의 비례가 적당하여 짜임새가 있으며 각 문양대의 시문이 단정하고 정성스러워 흐트러짐이 없는 조선 전기 병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참조항목

분청사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