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초

혜초

[ 慧(惠)超 ]

요약 신라의 고승으로 금강지와 함께 《대승유가금강성해만주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珠實利千臂千鉢大敎王經)》이라는 밀교(密敎) 경전을 연구하였다. 저서로 인도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남아 있다.
출생-사망 704 ~ 787
활동분야 종교
주요저서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723년(성덕왕 22) 당나라 광저우[廣州]에 가서 인도의 승려 금강지(金剛智)의 제자가 되었다. 그 뒤, 그의 권유로 나신국(裸身國)을 경유하여 인도 동해안에 도착, 불교 성적(聖跡)을 순례하였다. 이후 파미르고원을 넘어, 727년경 당나라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가 있는 쿠차[龜玆]를 거쳐 733년 당나라 장안(長安) 천복사(薦福寺)의 도량(道場)에서 금강지와 함께 《대승유가금강성해만주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珠實利千臂千鉢大敎王經)》이라는 밀교(密敎) 경전을 연구하였다.

740년(효성왕 5)부터 이 경전의 한역에 착수하였으나 이듬해 금강지의 죽음으로 중단되었다. 혜초는 금강지의 법통을 이은 불공삼장(不空三藏) 6대 제자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서도 이름을 떨쳤으며 우타이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 들어가 여생을 보냈다.

그의 인도 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1908년에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에 의해 중국 간쑤성[甘肅省]의 둔황[敦煌]에서 발견되어 고대의 동서 교섭사(交涉史)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혜초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