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과

포도과

[ Grape family , 葡萄科 ]

요약 속씨식물 갈매나무목의 한 과로, 약 950종이 열대, 아열대 및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대부분 덩굴성 목본식물이거나 드물게 초본 또는 기부의 줄기가 비후하기도 한다. 잎은 홑잎이고 손바닥 모양 또는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며 마주나는 덩굴손이 발달한다. 수술은 꽃잎과 마주나고, 밀선이 발달한다. 열매는 장과이다.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

학명 Vit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갈매나무
분포지역 열대,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숲속 또는 구릉지의 덤불숲 등

속씨식물 갈매나무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포도과는 포도목(Vitales)으로 분류된다. 약 17 950여 으로 구성되며, 주요 속은 개머루속, 거지덩굴속, 담쟁이덩굴속, 포도속, 테트라스티그마속(Tetrastigma) 씨서스속(Cissus) 등이 있다.

분포 및 활용

열대, 아열대 및 온대지역에 분포하며 숲 속 또는 구릉지의 덤불숲 등에서 발견된다. 포도(Vitis vinifera 및 근연 야생종)가 경제적으로 중요하며, 씨서스속, 담쟁이덩굴속, 로이씨서스속(Rhoicissus)은 원예식물로 사용한다.

특징

목본성 또는 초본성 덩굴식물, 또는 드물게 직립하는 초본 또는 소교목으로, 양성화주, 자웅이주 또는 잡성화가 한나무에 피는 잡성일가화성이다.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이 발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홑잎이거나 손바닥 모양 겹잎또는 깃모양겹잎이며, 턱잎은 있다. 꽃차례는 취산 또는 밀추, 간혹 수상꽃차례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이며, 방사상칭을 띤다. 꽃받침잎은 대개 4 또는 5장으로, 이생하거나 기부에서 유합되고, 흔히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거나, 간혹 퇴화하여 옷깃처럼 된다. 꽃잎은 꽃받침잎과 동수이고, 밀선은 주로 수술들 사이에 위치한다. 수술은 4 또는 5개, 꽃잎과 마주나며, 수술대는 가늘고 길며 약은 2실로 안쪽을 향한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1개이거나 2~3개이다. 자방(씨방)은 상위이고, 자방실은 2개 또는 3개가 있다. 암술머리는 대개 머리 모양이며, 밑씨는 자방실당 2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종자는 열매당 1~4개가 있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4속 10종이 알려져 있다. 포도속에는 울릉도에만 자라는 머루를 비롯하여, 왕머루, 새머루 등이 포함되며, 개머루속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개머루와 북한에 분포하는 가회톱이 알려져 있다. 담쟁이덩굴속에는 담쟁이덩굴과 미국담쟁이덩굴이 포함되고, 거지덩굴속에는 거지덩굴 한 종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