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구

화구

[ crater , 火口 ]

요약 지하의 마그마가 용암이나 화산가스 등을 통해 지표면으로 분출하는 출구.
백록담(화구호)

백록담(화구호)

분화구(噴火口)라고도 한다. 화산활동에 의해 지하의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는 출구로, 화산폭발로 형성되거나 마그마의 분출 후 지반의 함몰 등에 의해 만들어진다. 대체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이나 다양한 성인(成因)에 의해 모양이 달라지기도 한다.

크기는 보통 지름이 수십∼수백m 정도에 이르며, 1km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 참고로 화산의 분출 후 마그마와 가스가 빠져나간 빈 공간이 무너져 대규모의 함몰된 분지 지형을 일컬어 칼데라(caldera)라고 하는데, 칼데라는 그 규모가 화구보다 훨씬 크며 직경이 수십 km가 넘는 곳들도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구는 하와이 킬라우에아산(Kilauea Mt.) 정상부의 칼데라 안에 있는 할레마우마우(Halemaumau) 화구로, 지름은 1km 정도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라산과 울릉도의 화구가 유명하며, 백두산 정상은 화구의 함몰로 형성된 칼데라로 분류된다. 화구 안에는 물이 고여 호수를 이루기도 하는데, 이를 화구호(火口湖)라 한다. 한라산의 백록담이 대표적이며, 백두산의 천지는 칼데라호라 부른다. 한편, 화산활동 초기 비교적 약한 폭발에 의해 화산쇄설물들이 화구를 중심으로 퇴적하여 원형의 작은 언덕이 만들어진 화구 지형을 마르(maar)라고 한다.

현재 활동중인 활화산의 화구 안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작은 구멍들이 있는데, 분화는 대체로 그곳에서 이루어지며 화구 전체를 통해 분화되는 일은 드물다. 이 작은 구멍을 화공(火孔)이라 부르며, 화공에는 새로운 용암이 노출되곤 한다.

참조항목

화산, 활화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아끈다랑쉬오름의 화구

아끈다랑쉬오름의 화구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