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

홍채

[ iris , 虹彩 ]

요약 동공 주위에 있는 도넛 모양의 막으로서, 수축과 이완을 통해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홍채의 해부학적 위치

안구벽은 세 겹의 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안구벽의 중간층을 형성하고 있는 막을 혈관막이라고 한다. 혈관막은 멜라닌색소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막으로서 포도막이라 불리기도 한다. 혈관막은 맥락막, 모양체, 홍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혈관막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홍채이다.

홍채 본문 이미지 1
각막동공공막공막맥락막망막모양체홍채유리체황반맹점시신경수정체

홍채의 구조와 기능

홍채는 납작한 도넛 모양으로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위치하며, 바깥쪽으로는 모양체와 연결되어 있다. 홍채 안쪽의 비어 있는 중앙 부위의 공간을 동공이라 하는데, 빛은 각막을 거쳐 동공을 통해 들어오기 때문에 동공의 크기가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홍채는 이완하거나 수축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한다. 홍채는 두 종류의 민무늬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환상근으로 이루어진 동공괄약근은 홍채의 안쪽 끝에 위치하며, 종주근으로 이루어진 동공산대근은 홍채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 방사모양으로 퍼져 있다. 어두운 곳에서는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동공산대근이 수축하면서 동공괄약근은 이완하게 되어, 동공이 커지고 들어오는 빛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밝은 곳에서는 동공산대근이 이완하면서 잡아당겼던 근육이 풀어지고 동공괄약근이 수축하게 되어, 동공이 작아지고 들어오는 빛의 양도 줄어들게 된다. 안구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반사적으로 변하는 것을 동공반사라 하며, 동공괄약근은 부교감 신경, 동공산대근은 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홍채와 눈동자의 색깔

홍채는 눈동자의 색깔을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갈색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눈동자의 다양한 색깔이 결정된다. 즉 색소의 양이 적으면 청색으로 보이고 많으면 갈색으로 보이며, 완전히 색소가 결핍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관의 색인 적색으로 보인다. 홍채에는 뇌신경의 한 종류인 3차신경의 분지가 분포하고 있어 통각에 예민하다.

참조항목

, 동공, 동공반사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