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염

포도막염

[ uveitis , 葡萄膜炎 ]

요약 포도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

포도막은 안구의 차광(遮光)과 눈의 영양 및 안굴절의 변화를 주된 기능으로 하는 해면상조직(海綿狀組織)으로서, 색소와 혈관이 풍부하며, 홍채 ·모양체 ·맥락막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홍채와 모양체가 함께 침범되어 홍채모양체염이 되는 수가 많고, 또 맥락막만이 단독으로 침범되거나 전체 포도막에 염증이 파급되는 경우도 있다.

외상과 같이 직접적인 것을 제외하고는 대개 신체의 어딘가에 있는 병소에서 포도막염의 유발인자가 혈행을 따라 눈 속에 도달한다. 원인으로서는 교감성 안염 등과 같이 불확실한 것이 많지만, 홍채모양체염에서는 ·베체트 증후군 · · 등, 맥락막염에서는 결핵 ·매독 등이 원인인 경우가 있다. 원인이 판명된 것은 원인질환의 치료가 중요하지만, 원인불명인 것이라도 스테로이드제의 전신 또는 국소요법을 행하면 효과가 있을 때가 많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