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 ]

요약 1402년(태종 2) 5월 조선시대 초기 김사형·이무·이회 등이 작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구분 세계지도
저자 김사형(金士衡), 이무(李茂), 이회 등
시대 1402년(조선 태종 2)
소장 류코쿠[龍谷]대학 도서관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이자 현존하는 동양 최고(最古)의 세계지도로서, 중국과 일본의 지도를 바탕으로 1402년에 김사형(金士衡), 이무(李茂), 이회(李薈)가 제작하였다. 가로 164cm, 세로 148cm인 대형 지도이다. 지도 아래에 권근(權近)이 쓴 발문과 그의 《양촌집(陽村集)》의 〈역대제왕혼일강리도지(歷代帝王混一疆理圖誌)〉에 의하면, 원나라 이택민(李澤民)의 〈성교광피도(聖敎廣被圖)〉와 승려 청준(淸濬)의 <혼일강리도>를 중국에서 들여와 이 지도에 우리나라와 일본을 추가하여 완성한 것이다. 일본 지도는 1401년에 박돈지(朴敦之)가 사신으로 일본에 갔다가 가지고 온 지도를 참고하여 첨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는 당시로서는 매우 정확하게 그렸다고 할 수 있으나 오늘날 세계지도와 비교하면 세계에 대한 정보와 지식에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당시에도 중국 외에 다른 세계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었고, 부정확하나마 세계라는 개념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지도에는 중국이 지도의 중앙에 가장 크게 그려져 있고, 우리나라가 다음으로 크게 그려져 있다. 당시 우리나라와 중국에 대한 지리적 정보는 매우 우수한 편으로 지명도 매우 자세하게 기입되어 있다. 특히 한반도의 모습이 오늘날의 지도 모습과 유사하다. 그러나 두 나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 대한 지리적 정보는 빈약하다. 특히 일본은 지리적 위치가 부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에 비하여 일본에 대한 지리 정보가 상대적으로 빈약했음을 보여준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남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크기도 우리나라보다 아주 작게 그려져 있다. 그것도 일본 서해안 지역이 북쪽을 향하게 배치되어 방위가 틀어져 있다. 아프리카, 유럽은 매우 빈약하게 그려져 있고 신대륙인 아메리카나 대양주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당시 조선)를 비롯하여 여러 국가나 대륙명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지도상의 지역들이 어느 나라 어느 대륙을 나타내고 있는지 정확히 전하지 못하고 있다.

이 지도는 조선시대의 학자들에 의하여 제작된 거의 유일한 세계지도로서 조선 전기의 세계지리학의 지식을 결집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17세기에 마테오 리치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가 한국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가장 훌륭하고, 사실상 유일한 세계지도였다. 또한 이 지도를 통해 조선 전기 당시 우리나라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데, 중국이 지도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가장 크게 그려지고 다른 지역이나 대륙들은 매우 작게 표현 것으로 보아, 당시 우리나라에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원본이 없고, 규장각에 모사본이 있다. 필사본이 일본 교토의 류코쿠(龍谷)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외 일본에서 추가본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는 임진왜란 또는 일제 강점기 등의 기간에 우리나라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