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발과

통발과

[ Bladderwort family ]

요약 속씨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로, 220~320종이 전 세계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종이 열대 지역에서 자란다. 통발과는 식충식물로 점액 또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선모가 나 있으며,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다.
앵초벌레잡이제비꽃

앵초벌레잡이제비꽃

학명 Lentibulari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통화식물
분포지역 전 세계, 주로 열대지역에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습한 지역, 연못, 논

속씨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꿀풀목(Lamiales)으로 분류된다. 통발과는 3속 220~320종으로 구성되고, 전 세계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종이 열대지역에서 자란다. 주요 속으로는 벌레잡이제비꽃속(Pinguicula), 통발속(Utricularia), 젠리시아속(Genlisea)이 있다.

주로 축축한 땅이나 습한 지역에 자라며, 일부 종은 연못 또는 논에 생육한다. 식충식물에 포함되며, 실내 조경용 또는 교육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통발과 본문 이미지 1

특징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양성화주이다. 포충식물이고, 대개 점액 및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선모가 있고, 수생하거나 습지에 육생한다. 뿌리는 대부분 없고 벌레잡이제비꽃속만 부정근을 지닌다. 잎은 호생, 대생 또는 윤생하고, 흔히 줄기 아랫부분에 모여나며, 단엽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가늘게 갈리며, 흔히 안으로 말린다. 또는 주머니나 아래쪽에 방이 있는 관 등의 포충기관으로 변형된다. 꽃차례(화서)는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나고, 총상화서, 수상화서, 포가 있거나 없는 단정화서이다. 꽃은 양성이고, 좌우상칭이며, 화려하다. 꽃받침은 2개, 4개 또는 5개로 갈리고, 흔히 입술 모양으로 깊게 갈리거나 균등하게 갈린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꽃잎은 갈리지 않거나 2개 또는 3개로 갈리고, 아랫입술꽃잎은 갈리지 않거나 2개 또는 3~6개로 갈린다. 기부에는 꽃뿔(거) 또는 주머니가 발달한다. 수술은 2개이며, 꽃잎에 붙어있다. 암술은 1개이며, 심피는 2개가 합생한다. 씨방(자방)은 상위이고, 자방실은 1개이다. 밑씨(배주)는 2개에서 다수이며, 태좌는 독립중앙태좌(獨立中央胎座)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2속 8종(벌레잡이제비꽃, 이삭귀개, 땅귀개, 통발 등)이 알려져 있다. 남한 중부 및 남부 지역의 축축한 땅이나 연못 또는 논에 자라며, 일부 종은 북부의 고산 습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자주땅귀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식물로 남부 지역의 경사가 거의 없는 평탄한 습지 또는 산속 습지의 계곡 주변에 매우 드물게 자란다. 현재는 습지 개발에 따른 자생지 훼손 위협에 처해 있다.

역참조항목

개통발, 참통발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