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Peony Design in Underglaze Copper , 靑磁 象嵌銅彩牡丹文 梅甁 ]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13세기)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34.8cm, 몸통지름 21.7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34.8cm, 몸통지름은 21.7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어깨가 풍만하고 허리 곡선이 매끄러우며 작은 입이 매우 기품 있게 처리되었다. 청회색의 투명유에 그물 모양 또는 병행직선의 유열(釉裂)이 전신에 있으며 유택(釉澤)은 비교적 온건하다. 병구(甁口) 둘레를 중심으로 병 어깨에는 국당초(菊唐草)무늬로 구성된 4엽좌형(四葉座形) 복사(袱紗)무늬를 흑백 상감하였으며, 몸통부분 3면에 모란절지(牡丹折枝)무늬를 크게 흑백 상감한 후 모란꽃의 화판(花瓣) 끝에 진사(辰砂)를 상감해놓았다.

굽다리 둘레에는 흑상감한 뇌문대(雷文帶)를 둘렀으며, 이 뇌문대 위에는 백상감으로 윤곽을 두른 복판연화문대(複瓣蓮花文帶)를 두른 후, 화판 안에 흑상감으로 초무늬를 장식해 넣었다. 모란절지에 상감한 진사는 검붉게 발색되어 있다.

참조항목

청자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홈페이지)(http://www.museu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