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 Celadon Melon-shaped Bottle with Inlaid Peony and Chrysanthemum Design , 靑磁 象嵌牡丹菊花文 瓜形 甁 ]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25.6cm, 입지름 9.1cm, 밑지름 9.4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5.6cm, 입지름 9.1cm, 밑지름 9.4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참외 모양의 화병이다.

참외 모양의 몸통에 치마주름으로 된 높은 굽을 달고 병구(甁口)는 참외꽃을 본떠서 나팔처럼 길게 내뽑았다. 목의 중간부에는 2줄의 가로줄이 백토(白土)로 상감되어 있고, 목 밑의 언저리에는 백상감으로 여의두(如意頭)무늬를 장식하였다. 몸통은 참외 모양으로 여덟 면으로 나뉘어 골이 지어 있으며, 각각의 면에는 흑백상감으로 된 모란꽃 가지와 국화꽃 가지를 번갈아 장식하였다. 몸통의 아랫쪽은 연꽃이 흑백상감 새겨져 있으며, 굽은 주름치마 모양으로 다소 높다.

유약은 그다지 고르게 발라지지 않았고 색깔도 어두운 편이나, 전체적인 비례나 균형은 안정되어 있다. 중국 당나라에서 유래된 양식이지만 12세기에 들어서면서 기형(器形)이 주체적으로 수용되어 고려적인 선의 세련미를 보였다. 이 병은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가마터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형태가 같은 것으로는 국보로 지정된 청자 참외모양 병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