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당초문 완

청자 상감당초문 완

[ Celadon Bowl with Inlaid Scroll Design , 靑磁 象嵌唐草文 碗 ]

요약 고려시대의 주발.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당초문 완

청자 상감당초문 완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6.05cm, 입지름 16.8cm, 밑지름 4.4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6.05cm, 입지름 16.8cm, 밑지름 4.4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159년(고려 의종 13) 무렵에 죽은 문공(文公)이라는 사람의 묘지(墓誌)와 함께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짐작할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내면에는 기저(器底) 중앙에 큰 단판(單瓣) 국륜(菊輪)을 상감하고, 그 둘레를 유려한 백상감보상당초(白象嵌寶相唐草)로 채웠으며, 입둘레에는 초문대(草文帶)로 장식하였다. 이 내면 상감이 모두 백상감 단색으로 된 데 비하여 외면에는 구변(口邊)에 백상감초문대가 있을 뿐 그 아래는 5개소에 국화 한 송이씩을 흑백상감하고 있어서, 내외면의 변화 있는 조화를 이루고 있다.

청아한 회청색 비색유(翡色釉)가 매우 고르고 맑게 씌워져 있어서 은은한 광택으로 말미암아 상감효과가 한층 돋보인다. 굽다리 밑에는 3개의 화강석 눈 자국이 남아 있으며, 유색의 조화로 보나 상감기법의 세련도로 보나 이만큼 틀이 잡히려면 이미 상당한 기간, 기술이 발달되어 있었을 것이다. 고려 상감청자의 발달 실태를 잘 전해준 매우 귀한 유물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