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Bronze Kundika with Silver-inlaid Willow and Waterfowl Design ,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

요약 고려시대의 정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불교공예 / 공양구
크기 높이 37.5cm, 지름 12.9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7.5cm, 지름 12.9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불구(佛具)에 속하며, 고려시대 대표적인 금속공예품의 하나로 보통의 병 형식이면서 견부(肩部)에 마개가 달린 짧은 병구(甁口)가 붙고, 주구(注口)는 가늘고 긴 원통형을 둥근 중간 마디 위에 올려 앉혀, 직립주구(直立注口)를 형성한 특이한 형식이다.

기신(器身)의 굽도리와 어깨에는 한 줄씩의 도식화된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가 돌려 있다. 몸체에는 늪가에 서 있는 두 그루의 수양버들과 갈대밭을 배경으로 한 3인의 인물, 그리고 수면에 뜬 3척의 편주(片舟)와 헤엄치는 오리들이 있는데, 모두 청동바탕에 은입사(銀入絲)를 해서 묘사한 은상감 무늬이다. 이 은입사의 풍경표현은 근경(近景)에 그치지 않고 먼 육지와 하늘을 나르는 오리와 기러기 떼를 회화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이 무늬의 상감기법은 매우 세련되고 정교하다.

병 전면에는 청록수(靑綠銹)가 고운 배경을 이루어 무늬들이 한층 선명하며, 그림은 도식적인 것을 벗어나 전체가 거의 회화적인 수법이다. 이러한 늪가의 풍경도문을 그린 유형은 중국 요대(遼代) 경릉(慶陵)에서 발견된 벽화에도 있지만, 고려청자의 무늬에는 이러한 내용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은상감동기(銀象嵌銅器)의 장식기법은 고려청자 상감에 앞서는 것으로서 아마도 고려청자 상감기법을 창안함에 있어 좋은 착안을 주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항목

금속공예, 불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