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 Celadon Prunus Vase with Paste-on-paste Ginseng Leaf Design in Underglaze Iron , 靑磁 鐵彩堆花蔘葉文 梅甁 ]

요약 고려시대(12세기)의 매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27.3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27.3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바탕흙 위에 철채(鐵彩)를 한 겹 바른 후, 그 위에 청자유(靑瓷釉)를 씌운 청자의 일종이다. 철채가 청자유를 거쳐서 검푸르게 발색되어 있으며 탈유(脫釉)된 곳, 또는 시유가 얇은 곳은 갈색을 띠고 담녹황색(淡綠黃色) 등으로 나타난 부분이 있다. 병 어깨의 구면에 각기 한 줄기의 삼엽(蔘葉)을 음각한 후 그 무늬에 백토(白土)를 발라서 검은 소지(素地)와 조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철채자기는 그 예가 매우 드물며, 그 요지(窯地)는 전남 강진군 대구면 가마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