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Seven-story Stone Pagoda in Tappyeong-ri, Chungju ,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

요약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암 석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재지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4.5m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石塔)이다. 석탑의 설립 배경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언제 석탑이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전체적인 건축 기법을 보아 8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전해지는 설에 따르면 신라 원성왕 당시 국토의 정중앙 지점에 이 탑을 세웠다고 하여 '중앙탑'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석탑의 구성과 양식

화강암으로 제작된 칠층석탑으로,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탑의 전체 높이는 약 14.5m이며, 현전하는 통일신라시대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다. 

10매의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만들고, 그 위에 2단의 기단과 갑석을 올렸다. 각 기단에는 기둥석인 우주와 탱주 모양을 새겨 넣었고, 갑석 위에는 2단의 받침대를 두었다.

탑신부는 윗층으로 갈수록 탑신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탑신에도 기단과 같이 각 면에 기둥석인 우주와 탱주가 새겨져 있다. 석탑의 지붕돌(옥개석)은 낙수면의 귀퉁이가 버선코처럼 살짝 올라간 형태이고, 지붕돌 하단에는 5단의 옥개받침을 조각하였다. 

상륜부에는 2개의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앙화(仰花) 등이 차례로 올라가 있다.

사리장치와 유물

1917년 탑을 해체 및 보수하는 과정에서 사리장치와 유물 등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물로는 기록문서, 청동거울 2점, 목제칠합, 은제사리병, 청동뚜껑이 달린 합 등이 있다. 이 중 청동거울은 고려시대 유물로 추정되는데, 이를 통해 고려시대에 추가 사리장치 봉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치 및 의의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현전하는 통일신라시대 석탑 가운데 가장 큰 석탑일 뿐만 아니라 유일한 칠층석탑으로 희소성과 역사적 가치가 있다. 또한 우주와 탱주의 배치, 탑신과 옥개석의 짜임 등은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건축 기법으로 당대 석탑 건축양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이러한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참조항목

석탑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신라시대 석탑 국보 제6호 8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탑으로 당시에 건립된 탑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우리나라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이라고도 부른다. 2단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며 기단에는 우주와 4개의 탱주를 새겼다. 여러개의 탱주를 새긴 것은 통일신라시대 이전의 석탑양식에서 주로 나타난다. 석탑 앞에 있는 석등을 받치는 하대석과 팔각 연화대석은 사찰의 가람배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곳이 사찰터였음을 알려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