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서문하성

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요약 고려시대 최고 중앙정치기구.

고려에는 2성 6부의 중앙통치기구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최고 정무기관으로 기능한 것은 2성 가운데 중서문하성이었다. 중서문하성은 982년(성종 원년)에 처음 설치되었는데 이때 관원 등이 모두 갖추어진 것은 아니고 다음 해에 이르러서야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서의 2차례 설치기록은 그와 관련한 것이라 생각된다.

중서문하성 본문 이미지 1
어사대중추원상서성중서문하성식목도감도병마사병부이부2성6부2성6부삼사

중서문하성은 상하 이중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백규(百揆) 서무(庶務)를 관장한 상층조직인 재부(宰府)와 간쟁봉박을 맡은 하층조직인 낭사(郎舍)로 분립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상층의 재부는 종2품 이상이 구성하였던 데 비해 정3품이하는 하층의 낭사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이중 상층 재부의 성재(省宰)·재상(宰相)들의 비중은 매우 컸다. 중서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을 중심으로 그 밑의 평장사(平章事)들과 참지정사·정당문학·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로 구성된 재오(宰五), 즉 재상들은 군왕과 더불어 정사를 의논 처리했을 뿐 아니라 그 집행기관인 상서6부의 판사(判事)까지 겸임하여 국정 전반을 관장하는 지위에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하층부인 낭사는 정3품인 좌·우산기상시(左·右散騎常侍)이하 종6품의 좌·우습유(左·右拾遺)까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들은 군주의 불가한 처사나 과오에 대하여 힘써 간언하는 간쟁과 부당한 조칙을 봉환하여 박정하는 봉박을 주로 담당해 보통 간관(諫官)이라고 불렸으며 문무관의 임명에 있어서나 상중에 있는 인원을 기복(起復)시키는데 있어서 서명을 하는 권한인 서경의 권한도 함께 부여받았다. 또한 낭사는 어사대(御史臺)와 함께 대간(臺諫)을 구성하였는데, 비록 규정된 임무가 조금 차이가 있긴 하지만 흔히 같이 상소를 올려 군주의 과실과 백관의 비위를 논하는 상호 보조적 관계를 유지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재부와 낭사는 그 구성이나 기능이 상이해 별개의 관부처럼 보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가 한 관서의 직관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특히 백관의 비위를 논하는 기능을 가져 겉으로는 재부를 견제하는 것처럼 보이는 낭사가 재부의 하위에 놓여있었으며 이들의 장(長)을 재부가 맡고 있었다는 점은 고려왕조가 귀족사회였음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