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욱

정병욱

[ 鄭炳昱 ]

요약 1957년 《사상계》에〈아카데미즘의 위기〉를 발표하여 박사학위 논문에 대한 일대 경종을 울렸던 국문학자. 주요 저서 가운데《시조문학사전》는 고시조 2,376수를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 작품별로 작자와 출전을 밝힌 이 분야의 역저이다.
출생-사망 1922.3.25 ~ 1982
백영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경남 하동
주요수상 한국출판문화상(1967), 외솔상(1979), 3·1문화상(1980)
주요저서 《시조문학사전》(1966)

연희전문을 거쳐 1948년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조교수(1948∼1952), 연세대학 조교수(1952∼1958), 서울대학교 교수(1958∼1985)를 역임했다. 《자유문학》지에 〈국문학의 개념규정에의 신제언(新提言)〉(1952)을 발표한 후, 《신태양》에 〈시조부흥운동비판〉(1956), 〈고전문학의 순화문제〉(자유문학, 1959) 등을 발표했다. 낙선재문고(樂善齋文庫)를 정리·해제하였고, 낙선재 소설의 사회사적·문화사적 의의를 밝힌 논문 〈이조말기 소설의 유형적 특징〉을 발표했다. 1957년 《사상계》에 〈아카데미즘의 위기〉를 발표하여 박사학위 논문에 대한 일대 경종을 울렸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 《국문학산고》(1959), 《한국고전시가론》(1976), 《한국고전의 재인식》(1979), 《한국의 판소리》(1981) 등과 고시조 2,376수를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 작품별로 작자와 출전을 밝힌 《시조문학사전》(1966)은 15년 동안의 조사와 준비 과정을 거친 이 분야의 역저이다. 한국출판문화상(1967), 외솔상(1979), 3·1문화상(1980) 등을 수상했다.

참조항목

국문학

역참조항목

낙선재문고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