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탁영 정만록

이탁영 정만록

[ Jeongmallok (Record of the Conquest of Barbarians) by Yi Tak-yeong , 李擢英 征蠻錄 ]

요약 1592년(선조 25) 이탁영(李擢英)이 임진왜란 시발일로부터 끝난 98년까지 전후 7년간에 걸쳐 쓴 일록(日錄)과 교서(敎書).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탁영 정만록

이탁영 정만록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6년 10월 15일
소장 한국국학진흥원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일기류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장계(狀啓) · 첩보(牒報) 등을 수록한 이탁영(李擢英)의 친필고본(親筆稿本)이며, 건(乾) · 곤(坤) 2권 2책이다.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의 영리(營吏)로 있던 필자가 진중에서 《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이라는 제목으로 초하여 두었던 것을 1601년 선조가 읽고 명명한 이름이다.

건권(乾卷)은 ‘임진록’이라는 제하(題下)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領相) 이하 군관(軍官)의 좌목(座目)을 실었고, 그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이라는 제하에 월일별로 보고 듣고 겪고 느낀 점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하였다. 임진년(壬辰年) 기사는 매일 기록하였고, 1593∼98년간은 O표를 하고 나서 연월일 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권말에는 이덕형(李德馨) 등 7명이 명나라의 흠차감군(欽差監軍)에게 보낸 정문(呈文)을 전재하고 있는데, 그 안에 쓰시마섬(대마도)이 경상도 지방임을 고증한 부분이 있으며, 또 이충원(李忠元) 등 6명의 정문(呈文)도 수록하였다.

곤권(坤卷)은 서문에서 임진왜란의 개황과 일록(日錄) 및 연혁 ·통문(通文) 등을 기록하거나 등서(騰書)하게 된 연유를 자세히 적고, 이어서 7년 동안에 있었던 교서 ·장계 ·통문 ·첩보 ·격문(檄文) 등을 전재하였다. 권말에는 일본의 포로가 된 명나라의 허의후(許儀後)가 자기 나라에 보낸 기밀봉사(機密封事)를 전재했는데, 이는 당시 일본의 사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 책은 다른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당시의 적정(敵情)과 아군의 병력배치를 비롯하여 조야관민의 사정을 상술하고 있어 임진왜란 연구에 값진 사료로 평가된다.

참조항목

보물, 임진왜란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