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룡 유물

정기룡 유물

[ Relics Related to Jeong Gi-ryong , 鄭起龍 遺物 ]

요약 임진왜란 때 활약한 정기룡 장군이 남긴 유물 6건. 1980년 8월 2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기룡 유물

정기룡 유물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0년 8월 23일
소장 상주박물관
소재지 경상북도 상주시 경천로 684 (사벌국면, 상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생활용구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정기룡(鄭起龍, 1562~1622)이 남긴 옥대(玉帶), 신패(信牌), 유서(諭書), 교서(敎書), 교지(敎旨)로 구성되어 있다. 정기룡은 1580년 향시에 합격하였으며 1586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별장(別將)으로서 거창 싸움에서 왜적 500여 명을 격파하였다. 이후 진주성을 지켜냄으로써 왜적이 호남으로 진출하는 것을 막았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토왜대장에 제수되었다. 이 때 고령에서 왜군을 격파하였으며 경주와 울산을 수복하는 등의 공훈을 세웠다. 1622년에는 삼도수군통제사 겸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지위에 있다가 통영에서 순직하였다. 이후 상주의 충렬사에 모셔졌으며 시호는 ‘충의’이다. 정기룡이 남긴 유물 가운데 군직과 시호를 내린 교지를 비롯하여 옥대와 신패 등 총 6건이 1980년 8월 2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각각의 유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옥대(玉帶): 옥으로 된 띠로 투각된 문양을 가진 허리띠이다. 길이 157㎝, 너비 4.5㎝로 화문 장식이 있으며 전면의 걸이장식 부분은 일부 훼손된 상태이다.
  2. 신패(信牌): 1598년 4월에 발행한 중국 명나라 도독 마귀(麻貴)의 신패이다. 크기는 64(가로)×55(세로)㎝이다.
  3. 유서(諭書): 1617년 3월 7일에 정기룡에 내린 유서 1장으로 크기는 91×26㎝이다. 내용은 “유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정기룡 만력45년 3월 초7일(諭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鄭起龍萬曆四十五年三月初七日)”이다.
  4. 교서(敎書): 1617년 3월 7일에 발행된 것으로 크기가 52×170㎝이다. 내용은 “교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정기룡(敎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鄭起龍)”이다.
  5. 교서(敎書): 1629년 2월 25일에 발행된 것으로 크기는 80×300㎝이다. 내용은 “교 삼도통제사겸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정기룡(敎三道統制使兼慶尙右道水軍節度使鄭起龍)”이다.
  6. 교지(敎旨): 1773년 5월 28일에 정기룡의 시호를 내린 교지 1매이다. 63×94㎝의 크기이다. “보국숭록대부행지중추부사겸 오위도총부총관 정기룡 증시 충의공자 건륭38년 정월 25일(輔國崇祿大夫行知中樞府事兼五위都摠府摠管鄭起龍贈諡忠毅公者乾隆三十八年正月二十五日)”이라 적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