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안례

전안례

[ 奠雁禮 ]

요약 전통혼례에서 결혼 당일 신랑이 대례를 치르러 신부집에 갈 때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초례상(醮禮床) 위에 놓고 절을 하는 절차.

옛날에는 산 기러기를 썼으나 지금은 대개 나무로 만든 기러기로 대용한다.

전안례를 치르는 절차는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경기 지방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신부집에서는 대청이나 안마당에 천막을 치고 그 아래 멍석을 깐 다음 다시 돗자리를 펴고 전안례나 대례를 치를 준비를 하고 기다린다. 신랑이 문에 들어서면 안내자(대개 처남이 될 사람이 한다)가 읍(揖)하고 신랑을 대례청으로 인도한다. 신랑은 가지고 온 나무기러기를 놓고 2번 절한다. 이때 여자 하님이 기러기를 치마폭에 싸가지고 방에 들어가 아랫목에 시루로 덮어 놓는다. 치마폭에 감싸는 것은 기러기가 알을 잘 낳으라는 뜻이며 시루로 덮는 것은 숨쉬기 좋게 함이라 한다.

참조항목

초례

역참조항목

목기러기, 친영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