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塼/甎 ]

요약 벽돌 ·타일과 비슷한 옛날의 동양 건축재로, 형태에 따라 사각형전 ·직사각형전 ·상형전(箱形塼) ·능형전(菱形塼)으로 구분되는데, 구조물의 보강과 표면을 장식하는데 쓰였고,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후 고분이나 절터 등에서 그 유품이 보인다.

흙을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분묘의 벽 또는 바닥 등의 표면을 장식하였으며, 부전(敷塼) ·벽전(壁塼) ·묘전(墓塼)과 같이 용도에 따른 구분이 있고, 사각형전 ·직사각형전 ·상형전(箱形塼) ·능형전(菱形塼)과 같이 형태에 따른 구분이 있다. 구조물의 보강과 표면을 장식하는 데 쓰였던 전은 표면이나 측면에 무늬를 조각하고 여기에 유약(釉藥)을 입혀 아름다운 녹색을 나타내기도 하여, 이 무늬의 부분은 미술품으로서 연구 또는 감상의 대상이 되어 왔는데, 전의 무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주제(主題)가 달라지고 표현수법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이후에 만들어졌다는 전은,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후의 고분이나 절터 등에서 그 유품을 보여주고 있다. 전에 조각하는 무늬로는 연꽃무늬 ·보상화(寶相花)가 시대나 지역의 차이 없이 널리 이용되던 무늬로, 때로는 다른 무늬와 곁들여 사용되었다. 공주의 송산리(宋山里) 6호분 및 무령왕릉(武寧王陵)의 전에 조각된 연꽃무늬와 경주의 여러 절터에서 발견되는 방형부전(方形敷塼)의 보상화무늬 등은 연꽃무늬벽돌[蓮花文塼]과 보상화무늬벽돌[寶相花文塼]의 대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주에서 발견되는 보상화무늬벽돌들은 임해전(臨海殿)터의 것을 보상화무늬의 방전(方塼)으로는 흥륜사(興輪寺)터에서 출토되는 것을 대작(大作)으로 꼽는데, 이러한 방전의 한쪽 측면에는 당초(唐草) ·쌍록(雙鹿) 무늬를 조각하여 마구리를 장식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특이한 전의 예로는 부여(扶餘) 규암리(窺岩里)에서 발견된 여덟무늬벽돌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도깨비무늬[鬼文] ·산경무늬[山景文] 각 2종과 봉황 ·용 ·연꽃 ·구름무늬 각 1종으로 이루어졌다. 이 여덟무늬벽돌의 조각은 우아하고 부드러워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아름다운 무늬들이다. 이 밖에 경주 부근에서 발견된 사냥무늬벽돌[狩獵文塼]과 통일신라시대에 전탑(塼塔)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불상 ·탑 ·불각이 조각된 전 등이 특수한 전으로 꼽힌다.

참조항목

벽돌, 타일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