잿빛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Northern Harrier ]

요약 매목 수리과의 조류.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잿빛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학명 Circus cyaneus
동물
지정종목 천연기념물
척삭동물
지정일 1982년 11월 16일
수리
소재지 기타 전국일원
멸종위기등급 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
크기 날개길이 33∼40cm, 꼬리길이 22~28cm, 부리길이 1.5~2cm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몸의 빛깔 회색
생식 난생(1회에 4~5개)
서식장소 습지, 갈대밭, 초원
분포지역 시베리아, 몽골, 중국(북동부), 유럽

날개길이 33∼40cm, 꼬리길이 22~28cm, 부리길이 1.5~2cm이다. 이마에서 허리까지는 잿빛이고, 어깨와 등은 다소 갈색을 띤다. 아랫면은 흰색이다. 부리는 회색이고, 홍채는 노란색이다.

4∼5월에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으며, 번식기 외에는 잘 울지 않는다. 먹이는 참새류·오리류·설치류 등이다. 땅 위에 있는 것을 잡아먹거나 날아가는 작은 새를 쫓아가 잡기도 한다. 땅 위를 걸어다니기도 하고 가볍게 뛰기도 하는데, 뛸 때는 꼬리를 위아래로 심하게 흔든다.

시베리아·아무르·몽골·중국(북동부)·유럽 등지에 분포하고, 한국·일본·동남아시아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한국 전역에서 볼 수 있는 겨울새로서 버드나무가 드문드문 자라는 습지에서 서식한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잿빛개구리매 본문 이미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