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정간

장백정간

[ 長白正幹 ]

요약 원산 서부, 함남 ·평남의 도계(道界)를 이루는 두류산(頭流山)에서 북상하여 함북지방을 두만강 유역과 동해안지방으로 갈라놓은 산줄기의 옛 이름.

산경표(山經表)》에서 체계를 세운 한반도 산맥의 1대간(大幹) ·1정간 ·13정맥(正脈) 중의 정간으로, 백두대간이 남동으로 뻗다가 남서쪽으로 각도를 돌리게 되는 두류산에서 갈라지는 산줄기이다. 산줄기는 괘상봉(掛上峰) ·궤상봉(櫃上峰) ·관모봉(冠帽峰) ·고성산(高城山) ·차유령(車踰嶺) ·차유봉 ·슬봉 ·백사봉(白沙峰) ·송진산(松眞山) ·조산(造山) ·서수라(西水羅)로 이어진다.

역참조항목

백두대간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