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경표

산경표

[ 山經表 ]

요약 조선시대 후기 우리나라 전국의 산줄기를 분류하여 정리한 도표.
구분 필사본
저자 신경준(申景濬)
시대 조선시대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산지를 정리한 책으로, 18세기 중반 영조때 실학자 신경준이 편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경표는 눈에 보이는 산줄기인 분수계를 기준으로 산지체계를 인식한 것으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의 산맥도와는 산맥의 위치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백두산을 중심으로 국토를 관통하여 뻗은 대간(大幹)과 지맥(支脈)의 분포를 기재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정기가 백두산에서 내려온다는 당시의 민간 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필사본으로 지도가 아니라 1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의 산지들을 백두대간(白頭大幹)과 이로부터 나온 14개의 정간(正幹), 그리고 정맥으로 설명하고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남쪽 끝인 지리산까지 이어진 한반도의 중추 산지로 모든 산지는 이를 중심으로 뻗어나간 것으로 인식하였다.

현대의 산맥도는 지질구조선을 따라 정의한 것으로 실제 보이는 산줄기와 차이가 나타나는 반면, 산경표는 실제 나타나는 산줄기를 따라 산지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과 분수계 및 지역 구분에 유리하고, 실제 생활권 구분에 더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본인 지질학자에 의해 제시된 산맥 구분 및 명칭 이전의 우리나라 전통의 산지 분류체계를 알 수 있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산경표의 단점은 겉으로 드러난 산줄기를 기준으로 산지를 인식하여 지질구조선이나 지각의 형성 요인 등에 대한 반영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근래에 들어 기존의 우리나라 산맥도를 산경표에 제시된 것으로 대치하자는 주장도 있으나, 현대의 산맥도는 눈에 보이는 산줄기와 달리 지각 운동에 따른 지질 구조선을 기준삼아 산맥을 분류한 것으로 서로 다른 접근의 차이로 인해 학계에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

필사본이었던 산경표는 1913년 민족학자 최남선(崔南善)이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하여 널리 유포되었으며, 현재 서울대 규장각 등 각처에 소장되어 있다. 현대에 와서 산경표를 실제 지도로 표현하였는데, 이를 산경도(山經圖)라 한다.

역참조항목

신경준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