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만영

장만영

[ 張萬榮 ]

요약 자연을 소재로 하여 전원적인 정서를 현대적인 감성으로 읊은 시인. 주요 작품으로《시장에 가는 날》, 《유엔 묘지》, 《바람이 지나간다》 등이 있다.
출생-사망 1914.1.25 ~ 1975
초애(草涯)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황해도 연백(延白)
주요저서 《장만영 시선집》(1964)

호 초애(草涯). 황해도 연백(延白) 출생. 경성 제2고보를 거쳐 도일하여 도쿄[東京] 미자키[三崎] 영어학교 고등과를 졸업하였다. 1932년 《동광(東光)》지에 투고한 시 《봄노래》로 김억(金億)의 추천을 받으면서 데뷔, 그 후 《마을의 여름밤》 《겨울밤의 환상(幻想)》 《비 걷은 아침》 등을 계속 발표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도시 대신 농촌, 문명 대신 자연을 소재로 하여 전원적인 정서를 현대적인 감성으로 읊은 것이 그의 시의 특징이다.

1937년 제1시집 《양(羊)》을 간행하여 최재서(崔載瑞) 등으로부터 격찬을 받았다. 1939년 제2시집 《축제(祝祭)》를 간행하고 8·15광복 후에는 출판사 산호장(珊瑚莊)을 자영하면서 제3시집 《유년송(幼年頌)》을 낸 후에도 계속 《시장에 가는 날》 《유엔 묘지》 《바람이 지나간다》 《일기초》 등을 발표했다. 1956년 제4시집 《밤의 서정》, 1957년 제5시집 《저녁 종소리》, 1962년에 시와 산문집 《그리운 날에》를 발간, 1964년 《장만영 시선집》을 출간했다. 만년에는 별로 시작활동을 하지 않았다.

장만영 연보
출생 1914.1.25~ 사망 1975

1914

1월 25일 황해도에서 출생.

1927

백천보통학교 졸업. 경성제2고등보통하교 입학.

1928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에 거주.

1932

경성제2고등보통학교 졸업. <동광>지에 시 <봄노래>, <마을의 여름밤>발표.

1934

일본 동경 삼기영어학교 고등과에 적을 둠.
<학등>에 시 <겨울밤의 환상>, <고요한 밤> 발표. <신인문학>에 <별> 발표.
<신동아>에 <비 걷은 아침>, <고요한 오후>, <아직도 거문고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까> 발표.

1935

귀국 후 낙향. 박영규와 결혼.

1937

첫 시집 《양》간행.

1939

시집 《축제》 간행.

1950

<신천지>지에 시 <사랑>, <백민>지에 <순아에게 주는 시> 발표. 부산으로 피난.

1952

<현대시감상> 간행.

1954

서울신문사에 입사, <신천지> 주간, 학생 문예지 <신문예> 주간.

1956

<현대문학>에 시 <어느 고을>발표. 시집 ≪밤의 서정≫간행.

1957

<현대문학>에 시 <사슴>, <사상계>지에 시 <게>발표. 시집 ≪저녁 종소리≫간행.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간행.

1964

<문예춘추>지에 시 <침묵의 시간> 발표. 자선 시집 ≪장만영시선집≫ 간행.

1965

시와 수필 ≪그리운 날에≫간행.

1966

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1973

시집 ≪저녁놀 스러지듯이≫간행.

1975

10월 8일 급성췌장염 등 합병증으로 사망.
고양군 벽제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82년 용인 공원묘지로 이장.

역참조항목

달·포도·잎사귀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