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보호헌장

자연보호헌장

[ 自然保護憲章 ]

요약 훼손·파괴되어 가는 자연환경에 대하여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자연보호운동에 힘입어 생태학적인 보호의 견지에서 제정된 자연환경보전법과 함께 국민에게 자연환경윤리관을 심어주기 위하여 정부가 선포한 한국의 자연보호에 관한 헌장.
자연보호헌장 기념비

자연보호헌장 기념비

1978년 10월 5일에 선포되었다. 자연보호를 위한 범국민적 결의를 집약 제정한 헌장은 전문과 실천사항으로 되어 있다. 제정과정을 보면 학계·언론계 등 각계 전문가 100명의 위원으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중 11명의 헌장 심의위원회에서 초안을 작성하여, 수차례의 심의를 거친 끝에 헌장 제정 위원회와 자연보호위원회의 의견을 거쳐 확정된 것이다.

헌장 전문에는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자연생태계의 법칙과 조상들의 자연보호관을 소개하고, 산업문명의 발달과 인구의 팽창에 따른 자연파괴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각성을 촉구하고, 자연보호를 위한 국민적 결의를 집약하고 있다. 헌장 실천사항은 7개항의 다짐사항을 통하여 자연보호에 대한 국가·국민의 의무, 국민교육의 중요성, 올바른 환경윤리관의 확립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국제민간단체인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자연보호운동에 대한 전세계의 움직임은, 유엔환경계획(UNEP)으로 하여금 세계자연보호헌장 초안을 이미 발표하여 곧 선언 단계에 이르게 하고 있다. 그 서문에는 ‘인간과 생물과의 상관관계, 자연보호의 일반원칙, 자연의 적정 관리·이용, 보호의 책임’ 등이 밝혀져 있다. 헌장 초안에서는 ‘환경윤리관의 인식을 위한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 법제·행정·교육·세제의 강화지원을 위한 제도체계의 확립, 그리고 과학·기술의 적정관리를 위한 기술체계의 발달’ 등을 촉구하는 내용으로서, 이와 같이 적정관리된 귀하고 소중한 자연자원을 영원히 후세대에게 물려주자는 결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