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현

의현

[ 義玄 ]

요약 중국 당나라의 선승(禪僧)으로 득도하는 법으로 사갈(四喝) ·사료간(四料揀) 등 8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자 혜연(慧然)이 엮은 《임제록(臨濟錄)》은 그의 언행들을 담고 있다.
출생-사망 ? ~ 867
혜조(慧照)
국적 중국
활동분야 종교
출생지 중국 조주(曹州) 남화(南華)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 속성 형(邢). 시호 혜조(慧照). 조주(曹州) 남화(南華) 출생. 어려서부터 불교에 심취하여 출가 후 경 ·율 ·논(經律論)을 배우고 황벽 희운(黃檗希運)을 스승으로 찾았는데, 그의 박대에 화가 나 대우(大愚)를 찾아갔다. 그러나 대우가 임제의 스승은 역시 황벽이라고 타이르자, 그는 다시 황벽을 찾아가서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후에 허베이[河北] 지방의 진주성(眞州城) 부근의 임제원(臨濟院)에 살면서 선풍(禪風)을 전파하다가 난을 피하여 허난부[河南府]로 옮겼는데, 후에 다시 대명부(大名府)의 흥화사(興化寺)로 옮겨갔다.

그는 불법을 공부하는 사람이 득도하는 방법으로서, 사갈(四喝) ·사료간(四料揀) ·삼구(三句) ·삼현(三玄) ·삼요(三要) ·사조용(四照用) ·사빈주(四賓主) 등이 있다고 말한다. 매우 엄격하여서 제자를 가르치는 데 봉(棒)을 사용한 덕산 선감(德山宣鑑)과 쌍벽을 이루어, ‘덕산의 봉, 임제의 갈’이라는 말이 유행했었다고 한다. 중국 선종 가운데서 법손(法孫)이 가장 번창하였다.

제자 혜연(慧然)이 엮은 《임제록(臨濟錄)》은 그의 언행들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