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오

인디오

[ Indio ]

요약 북아메리카 인디언과 구별해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을 지칭하는 말이다.
아스텍 인디오

아스텍 인디오

중앙아메리카와 그 이남 지역인 남아메리카 일대의 원주민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신대륙에 들어간 유럽인들은 처음에는 아메리카를 인도로 생각하고 그곳 원주민들을 인도사람이란 뜻의 인디언(Indian)이라 불렀다. 인디오(Indio)란 명칭 또한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식민화 정책을 펼친 에스파냐인들이 인도인을 에스파냐식으로 부른 명칭이 굳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아메리카 원주민을 '인디언' 중남부 지역인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을 '인디오'로 불러 구별하고 있다. 그러나 아메리카 인디언(American Indian)하면 인디언과 인디오 둘 다를 포함한 광범위한 의미로 쓰일 때도 많다.

고 인디언(Paleo Indians)이라 불리는 후기 홍적세의 아시아계 인종이 현재의 베링 해(Bering Sea) 지역을 경유해 북아메리카에 들어가 중앙 산지 및 남쪽으로 퍼져나간 것이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조상이란 설이 널리 퍼져 있으나 그 진위여부를 밝혀줄 확실한 고고학 증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아시아와 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의 유전적 연계성이 부족하고 각 원주민들의 신체·문화적 특징이 단일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기원설에 대한 다양한 반론들이 제기되고 있다. 고대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은 각 지역마다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해 나갔는데 중앙아메리카 고산지 및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일대에서 그 발전 속도가 특히 빨랐다. 멕시코와 과테말라 지방에서 발달한 마야(Maya)와 아스텍(Aztec) 문명은 가장 대표적인 인디오 고대 문명으로 정교한 역법체계와 고유의 우주관, 종교, 언어 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잉카(Inca)제국은 페루와 볼리비아로 일컬어지는 안데스 산맥에서 발달한 고대문명에 기원을 둔 인디오 왕국 중 하나였다.

16~17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북아메리카 인디언 식민화 정책이 불공정한 계약을 기반으로 한 경제·교회적 측면이 강했던 반면 에스파냐의 라틴 아메리카 식민화는 종교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에스파냐인들은 무력을 동원하여 인디오들을 착취하였을 뿐 아니라 그들을 기독교로 강제 개종시켰다.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교회는 인디오들을 통치하기 위한 에스파냐의 국가 기관 역할을 담당했다. 갑작스럽게 들어온 유럽문명은 인디오 문화와 혼합하여 새로운 모습을 띠기도 하였으나 이들의 고유 문명을 파괴하기도 하였다.

유럽인과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혼혈인 메스티소(mestizo) 분류 문제로 인해 오늘날 인디오의 수를 정확히 추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같은 인디오라도 그들의 문화와 생활 정도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 예컨대 페루 안데스에 살고 있는 케추아족(Quechua)은 잉카의 계통을 잇는 소농민이며 아마존 오지나 중부 내륙 평원의 원주민들은 단순 농경이나 수렵채집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한편 신체적으로는 인디오라 할지라도 도시적 교양을 갖추고 생활양식과 의식에 있어 서구사회를 지향하는 자들도 있다. 인권 및 문화 보호 운동이 계속되고 있으나 상당수의 인디오들은 여전히 사회 주변인으로 머물며 차별과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소수 부족 생활을 하던 일부 인디오들은 면역력을 갖고 있지 않은 서구 외래 질병들로부터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페루의 인디오

페루의 인디오 출처: 이미지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