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존록

이존록

[ 彛尊錄 ]

요약 조선 전기 사림파의 영수였던 김종직(金宗直:1431~1492)이 아버지 김숙자(金叔滋)의 행적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 편집, 간행한 책.
구분 목활자본, 목판본, 필사본
저자 김종직(金宗直)
시대 조선시대(1497, 1528, 1709)
소장 규장각

목활자본·목판본·필사본. 규장각도서. '이준'은 원래 ‘제기에 쓰는 술그릇’이라는 뜻으로 아들이 아버지에게 바치는 책의 의미를 갖고 있다. 1497년 강백진(康伯珍)의 간행본, 1528년 박승임(朴承任)의 간행본, 1709년 예림서원(禮林書院) 간행본이 있다. 권두에 1497년에 조위(曺偉)가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강백진의 발문이 있다. 앞부분에 <보도(譜圖)>와 <연기(年紀)>를 기록하고, 종유(從遊) ·제의(祭儀) ·가훈 중에서 가히 본받을 만한 것들을 뽑아서 사우(師友) ·사업(事業) ·제의 등의 항목을 만들었다. <사우록>에는 황희(黃喜) 이하 21명의 간략한 전기가 기록되어 있어서 김숙자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으며, <선공사업(先公事業)>에는 아버지의 치적을 쓰고 있다.

부록에는 <외조사재감박공전(外祖司宰監朴公傳)>과 <선비박영인행장(先妣朴令人行狀)>이 있다. 예림서원본 권말의 간기(刊記)에는 1497년 비로소 이 책을 간행했으나, 임진왜란으로 판목이 불타 100여 년 간 전해지지 않았으며, 이후 예림서원에서 중간했다는 내용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길재(吉再)의 학통을 계승하고, 아들 김종직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영남사림파의 학문적 연원을 이룬 김숙자의 학문과 행적이 나타나 있어서 조선 전기 영남사림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조항목

김숙자, 김종직

역참조항목

강백진, 예림서원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