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유고

이재유고

[ 頤齋遺稿 ]

요약 조선 후기 영조·정조 때의 학자 이재 황윤석(黃胤錫:1729∼1791)의 문집.
구분 문집·활자본
저자 황윤석
시대 1829년

활자본. 26권 13책. 1829년(순조 29) 간행. 황수경(黃秀瓊) 편저. 사(辭)·부(賦)·시(詩)·서(書)·서(序)·설(說)·발(跋)·명(銘)·잠(箴)·소(疏)·혼서(婚書)·상량문(上樑文)·축제문(祝祭文)·애사(哀辭)·제갈(諸碣)·장(狀)·전(傳)·잡저(雜著)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잡저〉에 수록된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 〈자모변(字母辨)〉은 오늘날 국어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화음방언자의해〉는 국어의 어원을 한어(漢語)로 설명한 것으로, 한어와 아울러 산스크리트까지 비교·고찰하고 있다.

〈자모변〉은 중국의 운서(韻書)와 한글의 자모·성질·어원 등을 비교·연구한 저술이다. 〈잡저〉에는 이 밖에도 〈심의회통신제(深衣會通新制)〉 〈부인회두제도설(婦人繪頭制度說)〉 〈공자생졸변(孔子生卒辨)〉 〈증곡석설(證斛石說)〉 〈전화경중설(錢貨輕重說)〉 〈국조장례보편후(國朝葬禮補編後)〉 〈본척도설(本尺圖說)〉 등 귀중한 여러 자료가 실려 있다. 조인영(趙寅永)이 쓴 서문을 실었다.

역참조항목

자모변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