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븐 시나

이븐 시나

요약 페르시아의 철학자 ·의사. 18세에 모든 학문에 통달하였으며, 20대에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形而上學)》을 40회나 정독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에 플라톤을 가미한 철학으로 이슬람 신앙을 해석하였다.
원어명 Ibn Sīnā
출생-사망 980 ~ 1037
별칭 라틴어명 Avicenna
활동분야 철학 ·의학
주요저서 《치유의 서》 《의학정전》

라틴어명 Avicenna. 정식이름은 Abū’Alī al-賀usayn ibn’Abd Allāh ibn Sīnā. 980년 경 오늘날 러시아 최남단에 위치한 부카라(Bukhara) 근방의 아프샤나(Afshana)에서 출생했다. 그의 부친 압둘라(Abdullah)는 발흐(Balkh) 태생이며, 그의 가문은 시아파이맘 이스마일의 자손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두각을 나타낸 이븐 시나는 11세에 이미 쿠란 정본과 아랍 고전을 섭렵했으며, 그 이후에는 이슬람의 법학, 철학, 자연과학, 논리학, 기하학, 의학 등 거의 모든 학문에 관심을 보였다. 그가 어려움을 느낀 학문 분야는 오직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이었으나, 그것도 당대의 철학자 알-파라비(al-Farabi)가 추천한 소책자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며, 20세가 되기전에 아리스토텔레서의 <형이상학(形而上學)>을 40회나 정독했다고 한다.
  
18세가 되던 해에 이미 의사로서 명성이 알려진 이븐 시나는 통치자 누흐 이븐 만수르(Nuh ibn Mansur : 재위 976~997 C.E.)의 주목을 받아 궁정에 출사했다. 이븐 시나의 치료에 감탄한 만수르는 그에게 많은 희귀본을 소장한 왕실의 도서관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를 통해 지식과 영감을 얻은 이븐 시나는 21세에 첫 저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해에 부친이 사망하자 그는 부카라로 돌아갔으며, 그 이후 지적 탐구의 후원자를 찾아 여러 곳을 전전하게 된다.
  
이븐 시나는 잠시 키바(Khiva)의 통치자 알리 이븐 마아문(Ali ibn Ma'mun)의 후원을 받았으나, 곧 카스피해 연안 주르잔(Jurjan)의 명망있는 통치자 카부스(Qabus)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이븐 시나는 후학들에게 논리학과 천문학을 가르쳤으며, 첫 저작인 《의학정전(醫學正典) : al-Qanun al-Tibb》의 일부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이후 이븐 시나는 오늘날의 테헤란인 라이(Ray)로 이주해 의학 연구에 전념했다. 특히 하마단(Hamadan)의 군주 아미르 샴스 알-다왈라(Amir Shamsud-Dawala)의 병을 치료한 뒤 신임을 얻은 뒤, 그의 후원 하에 《치유(治癒)의 서:Kitāb ash-shifā’》와 같은 대표작들을 완성하게 되었다.
  
아미르가 사망한 이후 이븐 시나는 이스파한(Isfahan)으로 이주했으며, 여생을 이스파한의 통치자 알라 알-다울라(Ala al-Daula)의 후원을 받으며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그는 주위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학문 연구에 몸을 아끼지 않았으며, 결국 1036년 1월 비교적 젊은 58세의 나이에 과로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가장 위대한 업적을 쌓았던 하마단에 안장되었다.
  
이븐 시나는 중세 라틴세계에서도 권위있는 의학자로 통하였으며, 철학에서도 동방 아랍의 최고봉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영향을 끼쳤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에 플라톤을 가미한 철학으로 이슬람 신앙을 해석하였는데, 개적영혼(個的靈魂)은 영원히 멸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그 일례라고 볼 수 있다. 그의 저서 《치유(治癒)의 서:Kitāb ash-shifā’》는 철학백과전서(哲學百科全書)와 같은 것으로서 윤리학과 정치학을 제외한 전 영역을 포함하였으며, 논리학에서의 제l지향과 제2지향의 해석은 보편논쟁(普遍論爭)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고, 심리학에서 영혼의 기능을 분류한 것은 스콜라철학에 있어 표준이 되기도 하였다. 그 밖에 《의학정전(醫學正典) : al-Qanun al-Tibb》을 비롯하여 의학, 철학, 신학, 기하학, 천문학 등에 관한 21개의 정본과 24개의 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저서는 아랍어로 쓰여졌으나, 철학서의 일부는 모국어인 페르시아어로 쓰여졌다.

참조항목

의학정전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