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경기

육상경기

[ athletics , 陸上競技 ]

요약 달리고 뛰고 던지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움직임에서 출발한 스포츠로 트랙·필드·도로 및 혼성종목을 총괄한 경기.
400m 달리기

400m 달리기

육상경기는 영어로 athletics가 기원이지만, 현재는 track and field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원형은 인류의 발생과 동시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달리기[走]·뛰기[跳]·던지기[投]는 인류의 생존을 위한 방어법·공격법이었을 것이다. 그것이 점차로 스포츠화되어 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으나 그 사이, 신(神)에 대한 의식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던 시대가 오래 계속되었다. BC 10세기의 그리스 시대가 되자, 신의 제전과 스포츠적 행동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 당시 영웅은 신 또는 신으로 칭송되는 무장으로, 동시에 뛰어난 경기자였기 때문에 스포츠는 이 영웅들의 장송의식(葬送儀式)의 하나였으며, 신의 제전의 일부였다.

종목은 달리기·창던지기·철구(鐵球)던지기 등으로서, 달리기경주는 원형의 넓은 곳에서 겨루었고 순위만으로 기록은 없었다. 상품은 여성·순금막대기·소·말·돼지 등이었다. 스포츠로서 처음으로 기록에 남은 경기회는 고대올림픽으로, BC 776년 그리스의 올림피아에서 제1회를 개최, AD 393년까지 4년마다 정확히 거행되었고 293회를 거듭했다.

기원 전 제17회까지는 직선을 달리는 드로모스라는 육상경기만 거행되었지만, 제18회부터 5종경기(넓이뛰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단거리경주 ·레슬링)가 추가되었다. 여자경기는 스파르타에서만 거행되었지만, 스파르타의 멸망과 함께 자취를 감추었다. 고대올림픽은 그 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부터 점차로 타락, 394년 마침내 로마황제 테오도시우스에 의해 폐지되었다.

이처럼 육상경기는 곧 올림픽으로서 그 운명도 함께 했다. 그 후 중세봉건시대에는 기사의 단련법으로서 무술은 요구되었지만 육상경기의 장려는 없었고, 1896년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근대올림픽이 부활되고 비로소 새로운 활동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912년 국제육상경기연맹(International Amateur Athletic Federation:IAAF)이 탄생했고 21년에는 세계기록을 IAAF가 공인하는 제도도 생겼다.

또한, 기술혁신으로 기구·시설·종목 등에 대폭적인 변경을 가져왔다. 이를테면 장대높이뛰기의 폴은 나무 → 대나무 → 스틸로 변한 후, 현재는 활처럼 휘어지는 탄력성을 가진 글라스파이버제(製) 폴이 출현했다. 그라운드의 주로(트랙)도 코크스 모양의 신더에서 시작하여, 화학합성고무를 원료로 한 전천후트랙(타탄)이 사용되는 등 이 때문에 세계기록이 대폭적으로 경신되었다. 1964년에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전기 계시기도 등장했고, 또한 여성의 체력향상에 따라 한동안 금지되었던 여자 800m가 도쿄 올림픽에서 부활되었으며, 1972년의 뮌헨 올림픽에서는 여자 1,500m까지 새로운 종목으로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