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암집

운암집

[ 雲菴集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운암 박문일(朴文一:1822~1894)의 시문집.
구분 시문집, 고활자본
저자 박문일(朴文一)
시대 조선 후기
소장 규장각,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활자본(목활자). 12권 12책. 규장각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간년(刊年)은 미상이다. 박문일은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말년에 잠시 사헌부 집의를 맡기도 하였다. 이 문집은 서북 인사들과 그곳에 연관되는 사실이 많이 기록되어 있고, 또 서북인사이면서 이항로 ·김평묵(金平默) ·이중문(李仲文) ·유중교(柳重敎) ·최익현(崔益鉉) 등의 유명 인사들과의 편지 교류도 보이고 있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심설(心說)> 등 성리학에 대한 논설이 있는데, 대체로 이항로의 학설을 따르고 있다. 그는 <선고박도정행장(先考朴道精行狀)> <선비행장(先妣行狀)> 등 부모의 행장을 직접 지은 바 있는데, 여기에는 양반으로서 소작생활을 하여 50무의 밭을 마련하는 과정과 그것으로 가계를 이루는 모습들이 그려져 있어 19세기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서북 출신 선비들의 문집이 희귀하다는 점에서도 이 문집의 가치가 돋보인다.

참조항목

박문일

역참조항목

이항로, 화서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