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항진증

운동항진증

[ 運動亢進症 ]

요약 섬망 ·진전(振顫) ·불수의운동 등의 총칭.

다동증(多動症) 또는 운동과다증이라고도 한다. 진전은 불수의적으로 나타나는 ‘떨림’인데, 동일 근군(筋群)에 수축과 이완이 교대로 규칙적으로 일어나거나 또는 길항근군(拮抗筋群)이 교대로 수축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안정시에 생기는 진전은 파킨슨증후군일 때 또는 진전마비증일 때 볼 수 있으며, 수의적인 동작을 원활하게 하지 못한다. 그러나 수면시에는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다. 뇌기저핵(腦基底核)의 장애가 원인이 된다.

진전에는 주의진전(注意振顫)과 활동진전이 있다. 이들은 여러 가지 동작을 할 때 팔 ·손가락에 생기는 떨림인데, 소뇌의 치핵(齒核) → 중뇌적핵(中腦赤核) → 시상(視床)까지의 신경전달경로의 장애와, 갑상선기능항진증일 때에 나타난다. 특히 갑상선기능항진증일 때 일어나는 떨림은 아주 미세하다.

불수의운동은 신체 일부에 갑자기 나타나며, 심할 때에는 상지나 하지에 차례로 반복해서 일어난다. 동작이 마치 무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무도병(舞蹈病)이라 하며, 소무도병과 헌팅턴무도병의 2형으로 나뉜다. 어느 것이나 뇌기저핵의 병변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이 밖에 아테토시스(athetosis) ·발리스무스(ballismus) ·티크 등도 불수의운동의 하나로 보고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