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결응회암

용결응회암

[ welded tuff , 鎔結凝灰岩 ]

요약 화산 쇄설암의 일종으로 화산재, 부석(浮石) ·암재(岩滓) 등이 고온 상태로 퇴적하여 자신의 무게에 의해 압축되어 용결함으로써 생성된다. 암질은 보통 석영안산암질, 유문암질이다.
용결응회암

용결응회암

마그마에 비롯된 화산재나 부석(浮石) ·암재(岩滓) 등이 고온인 상태로 가소성(可塑性)을 가진 채 퇴적하였기 때문에 자중(自重)에 의한 압축으로 암편은 파쇄되고, 서로 용결함으로써 생성된 것이다. 응회암층 ·부석퇴적층 ·암재퇴적층의 일부만이 용결하고, 주연부에서는 다공질(多孔質)의 응회암이나 간극이 많은 강하부석퇴적물 ·강하암재퇴적물로 점이하는 경우도 있다. 부석이나 암재는 상하로 편평한 렌즈 모양으로 배열한다. 기부는 보통의 응회암이며, 암편부분은 기부보다 거무스름하게 보인다. 암질은 일반적으로 석영안산암질 또는 유문암질이다. 용결응회암을 형성하는 화산활동의 형식은 열운(熱雲) ·부석류 ·강하부석 ·암재류 ·강하암재를 초래하는 폭발적인 것이며, 이런 화산쇄설물이 대량으로 분출한 뒤에는 칼데라 또는 그와 비슷한 함몰지가 생긴다.

뉴질랜드 북도(北島)의 로토루아호와 타우포호, 수마트라의 토바호 주변은 용결응회암으로 형성된 대지(臺地)이며, 이들 호수는 용결응회암을 위주로 하는 화산쇄설물이 분출한 뒤에 생긴 함몰지이다.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용결응회암 확대

용결응회암 확대 주성분은 사장석, 녹니석, 방해석이며 경기지역에 분포.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