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월도

완월도

[ 玩月圖 ]

요약 자연의 경관을 배경으로 달을 완상하는 선비의 모습을 그린 그림.

산수인물화의 하나로 고사관월도(高士觀月圖)·간월도(看月圖)·상월도(賞月圖)·대월도(對月圖)·망월도(望月圖)라고도 한다. 이는 동양 특유의 자연관과 인생관을 바탕으로 발생한 것인데, 중국에서는 대체로 남송(南宋)의 마하파(馬夏派) 화가들에 의해 그 형식이 완성되고, 명대(明代)의 절파(浙派) 화가들에 의해 크게 발달하였다.

한국에서는 조선 중기에 절파화풍이 크게 유행하면서 많이 그리게 되었다. 전하는 작품으로는 조선 전기의 화가 이상좌(李上佐)의 그림으로 알려진 《송하보월도(松下步月圖)》를 비롯하여,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작품으로 알려진 《망월도(望月圖)》 및 김명국(金明國)의 《임강완월도(臨江翫月圖)》, 조선 후기 윤두서(尹斗緖)가 그린 《의암관월도(倚巖觀月圖)》 및 김득신(金得臣)의 《출문간월도(出門看月圖)》, 조선 후기 유숙(劉淑)이 그린 《망월도》 등이 특히 유명하다.

참조항목

산수인물화, 절파

역참조항목

변각구도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