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Three-story Stone Pagoda in Dongbon-ri, Yecheon , 醴泉 東本里 三層石塔 ]

요약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1965년 7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5년 7월 16일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474-4번지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3.12m

1965년 7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3.12m이다.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석탑 옆에 있다.

탑의 기단부(基壇部)는 일부가 매몰되어 본래 2중 기단인지 단층 기단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현재 지상에는 윗면에 경사가 있는 석재가 놓이고 그 위에 1매석이 있다. 상층기단의 중석(中石)은 4장의 판석(板石)으로 각면에 우주(隅柱:탑신의 모서리에 세운 기둥 모양)가 표현되고 그 사이에 사천왕상(四天王像) 1구씩이 양각되었다. 갑석(甲石)은 1매석으로 밑에는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2단의 탑신 받침이 있다. 탑신부(塔身部)의 옥신석(屋身石)과 옥개석(屋蓋石)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 옥신에는 4개의 우주가 새겨져 있고, 1층 옥신은 장대(長大)하나 2층 이상의 체감률은 온화한 편이다. 1·2층의 옥개석 받침은 5단인데, 3층은 4단으로 줄어들었으며 추녀 밑이 수평을 이루고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다. 상륜부(相輪部)는 하나의 돌로 된 노반(露盤:불탑의 맨 꼭대기 지붕 바로 위에 놓여 상륜부를 받치는 부재)과 복발(覆鉢:불탑의 노반 위에 있는 장식으로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이 남아 있으나 후대에 보완한 듯하다.

이 3층 석탑은 조각 수법으로 보아 9세기 무렵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탑의 규모가 크지 않으나 탑신의 옥신석과 옥개석의 체감 비율이 조화를 이루어 우아하고 짜임새가 아름답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