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

영릉

[ 英陵 ]

요약 조선 제4대 왕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합장릉.
영릉

영릉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70년 5월 27일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영릉로 269-10 (세종대왕면) 여주 영릉과 영릉
시대 조선
종류/분류 왕실무덤

조선 제4대 왕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1395∼1446)를 합장한 무덤이다. 영릉(寧陵; 효종과 인선왕후의 무덤)과 함께 1970년 5월 2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영릉 본문 이미지 1

영릉의 조성

1446년(세종 28) 세종의 비 소헌왕후가 죽자 당시 광주(廣州, 현재의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헌릉(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무덤)의 서쪽 산줄기에 쌍실을 갖춘 능이 조성되었다. 동쪽 방은 왕후의 무덤이고, 서쪽 방은 세종이 살아 있을 때 미리 마련하여 1450년 세종이 승하하자 합장하였다. 그러나 세조 때 영릉의 터가 좋지 않다 하여 능을 옮기자는 주장이 나왔고, 1469년(예종 1) 현 위치로 옮겼다. 옛 영릉에 있던 상석·장명등·망주석·신도비들은 그 자리에 묻어졌으나 1973년에 발굴되어 현재는 세종대왕기념관에서 보존·전시하고 있다.

영릉의 구조와 형태 

영릉 본문 이미지 2

조선 왕릉 중 최초로 하나의 봉분에 왕과 왕비를 합장한 능이자 조선 전기 왕릉 배치의 기본이 되는 능으로, 무덤 배치는 《국조오례의》를 따랐다. 봉분의 하단을 감싸는 병풍석이 없고 난간석만 설치되었으며, 봉분 내부는 석실이 아니라 회격(灰隔: 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짐) 형식으로 되어 있다. 혼유석 2좌를 마련하여 합장릉임을 표시하였으며, 난간석에 12지신상을 조각하는 대신 12지를 문자로 표현하여 방위를 표시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영릉 조선 제4대 왕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합장릉 사적 1450년 세종이 승하하자 1446년 승하한 소헌왕후 심씨의 능과 합장하였는데 <국조오례의>에 따라 당시 광주군(현재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영릉을 조성했다. 세조 때 영릉의 터가 좋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1469년(예종 1)에 현재의 위치인 여주 능서면 왕대리로 이장하였다. 영릉에는 병풍석이 없고 난간석만 설치되었으며, 봉분 내부는 석실이 아니라 회격형식으로 되어 있다. 혼유석 2좌를 마련하여 합장릉임을 표시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