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주

염주

[ 念珠 ]

요약 불교에서 염불(念佛) 등을 할 때 손에 들고 횟수 등을 헤아리는 데 사용하는 법구(法具).
고려시대 염주

고려시대 염주

인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수주(數珠) ·주수(珠數) ·송주(誦珠)라고도 하는데, 산스크리트의 파사카말라(Pásakamálá:鉢塞莫)의 의역이다. 불 ·보살에게 예배할 때 손목에 걸거나 손으로 돌리기도 하며 또 염불하는 횟수를 세는 데 쓰기도 한다. 원래는 염주나무(보리수) 열매를 잘 골라 108개를 꿰어 만들었는데, 지금은 수정(水晶) 기타 귀한 재료로 만들기도 한다. 108개를 꿰는 이유는 ‘108 번뇌(煩惱)’를 뜻하는 것으로, 이것을 하나씩 손가락 끝으로 넘기며 염불을 하면 인간의 번뇌를 하나씩 소멸시킨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그 절반인 54개로 된 것은 보살수행의 계위(階位)인 4선근(善根) ·10신(信) ·10주(住) ·10행(行) ·10회향(廻向) ·10지(地)를 나타낸 것이며, 다시 그 절반 27개로 된 것은 소승(小乘)의 27현성(賢聖)을 나타내는 것이다. 54개 이하의 것을 단주(短珠)라고도 한다.

이 밖에 천염주(千念珠:1,080개)도 있다. 《목환자경(木槵子經)》에 보면 “부처님이 비류리왕(毘琉璃王)에게 고하기를 대왕이 만일 번뇌장(煩惱障)과 보장(報障)을 없애고자 한다면 목환자(木槵子:염주나무) 108개를 꿰어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행(行) ·주(走) ·좌(坐) ·와(臥)에 늘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이름을 염하시오…. 10번 ·100번 ·만 번 ·20만 번이 차면 득생(得生)하고, 1백만 번이 넘으면 108결업(結業)을 단(斷)할 수 있어 열반에 들게 된다”고 하는 구절이 있다.

참조항목

단주, 백팔번뇌, 염불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