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청탄

역청탄

[ bituminous coal , 瀝靑炭 ]

요약 휘발성 물질이 14% 이상으로 높고, 탄화도는 갈탄보다 높고 무연탄보다 낮은 석탄의 한 종류. 유연탄 또는 흑탄이라고도 한다.
흑탄

흑탄

석탄을 탄화도(炭化度)에 따라 분류할 때, 갈탄보다 탄화가 더 진행되었으나 무연탄보다는 탄화도가 낮은 종류의 석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탄소함유량은 75~90%, 수소함유량은 4~6% 정도이며, 탄화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소가 감소하고 탄소가 증가한다. 역청탄은 산업용으로 매우 다양하게 쓰이는데, 약 5,833kcal/kg의 최소 발열량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8,100kcal/kg 이상의 큰 발열량을 가진다. 건류 시에 비튜멘(bitumen), 즉, 역청 모양의 물질이 생기므로 이렇게 불리며, 일반적으로 흑색 또는 암흑색으로 유리광택이나 수지광택이 있다.

석탄을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으로 분류할 경우, 휘발성 물질이 14 %를 초과하는 석탄을 역청탄, 14 %이하일 때 무연탄이라고 한다. 역청탄은 연소할 때 긴 화염과 악취가 나는 연기를 내기 때문에 유연탄의 한 종류로 분류되며, 유연탄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자원이다. 특히 휘발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화력발전에 유용하다.

역청탄은 휘발성과 점결성에 따라 다시 구분되는데, 강점결성(强粘結炭)으로서 휘발성분이 많은 것은 도시가스 등으로 이용되며, 강점결성으로서 휘발성분이 적은 것은 코크스용 탄으로 사용된다. 반면 약점결성(弱粘結炭)으로서 휘발성분이 적은 것은 일반 연료용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수소 첨가, 가스화 등의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석탄 화학 공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 되었으며, 세계에서 생산되는 석탄의 대부분이 역청탄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생산이 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