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당전서

여유당전서

[ 與猶堂全書 ]

요약 조선후기의 문신, 실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저술을 정리한 문집 .
여유당전서

여유당전서

활자본 154권 76책.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술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등 이른바 1표 2서(一表二書)에서 시문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저술을 총망라한 문집이다. 외현손 김성진이 편집하고 정인보·안재홍이 교열에 참가하여 1934~38년에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하였다. 그후 신조선사판 《여유당전서》를 저본으로 해서 2종의 영인본이 더 간행되었는데, 1962년 문헌편찬위원회가 다산연보를 첨가해 《정다산전서》라는 책명으로 영인본을 냈고, 1970년에는 경인문화사가 《여유당전서보유》5책을 추가해 영인본을 출간했다.
전서의 체제는 내용에 따라 7집으로 분류되었는데, 제1집은 시문집(詩文集)으로 25권 12책이다. 그중 특히 권10의 설(說)은 과학 이론들로 광학기구를 이용해 원근법과 입체감을 나타내는 서양의 회화기법에 대해 기술한 칠실관화도설(漆室觀畫圖說), 땅이 둥글다는 것을 설명한 지구도설(地毬圖說), 화성 축조시 성의 축조방식에 대해 건의한 성설(城說)과 기중도설(起重圖說), 의학에서 본초(本草)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설(醫說) 등은 그의 실학자다운 면모를 잘 보여준다.

제2집은 경집(經集)으로 48권 24책으로 사서(四書)와 시경(詩經), 상서(尙書), 춘추(春秋), 주역(周易)에 대한 저술이고, 제3집은 예집(禮集)으로 24권 12책으로서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례외편(喪禮外篇), 상례절요(喪禮節要), 가례작의(嘉禮酌儀), 풍수집의(風水集議)로 되어 있으며, 제4집은 악집(樂集)으로 4권 2책이다.

제5집은 정법집(政法集) 39권 19책인데, 권1~15가 경세유표(經世遺表), 권16~29가 목민심서(牧民心書), 권30~39가 흠흠신서(欽欽新書)이다. 제6집은 지리집(地理集)으로 8권 4책인데, 권1~4가 강역고(疆域考), 권5~8이 대동수경(大東水經)이다. 강역고는 1811년에 저술한 우리나라에 관한 역사 지리서이며, 대동수경은 1814년의 저술로, 녹수(淥水), 만수(滿水), 살수(薩水), 정수(淀水), 패수(浿水) 등 임진강 이북의 수경(水經)과 수로(水路) 주변 지리가 자세히 서술되어 있는 반면, 대수(帶水) 이남의 수경이 제외된 이유는 알 수 없다. 제7집은 의학집(醫學集) 6권 3책으로 마과회통(麻科會通)이 실려 있고, 끝에 의령(醫零)이 첨부되었다. 마과회통은 마진(痲疹)에 대한 저술로, 1798년에 저술한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