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민락

여민락

[ 與民樂 ]

요약 조선 전기에 제작된 아악(雅樂).
종류 아악
구성 10장

관명(管名)으로는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 현명(絃名)으로는 오운개서조(五雲開瑞朝)라고 한다. 1445년(세종 27) 왕명에 따라 정인지(鄭麟趾) 등이 지어 올린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25장 가운데 그 수장(首章)과 2∼4장 및 종장(終章)을 가사로 얹어 부르던 곡조였으나, 지금은 가사는 부르지 않고 순 기악곡으로만 연주되고 있다. 1447년부터 궁중의 연향(宴饗)에서 연주되었으며, 《세종실록》에 수록된 이 곡은 장수(章數)의 구분이 없고, 영조 때 엮어진 것으로 보이는 《속악원보(俗樂原譜)》에는 모두 10장으로 나뉘어 있으나, 지금은 그 중 7장만 전하고, 관현악 연주뿐이다. 이 곡의 구성음은 황종(黃鐘) ·태주(太蔟) ·중려(仲呂) ·임종(林鐘) ·남려(南呂)의 5음계로, 선법(旋法)은 치조(徵調) ·치선법(徵旋法)이고, 장단은 초장에서 3장까지는 1각 20박, 4장 이하는 반으로 줄어든 1각 10박이 되어 속도도 좀 빨라진다.

그 선율이 웅대하고 화평하여서 조선시대를 통하여서도 장악원(掌樂院)의 으뜸가는 대곡으로 꼽히어 왔다. 사용되는 악기는 거문고 ·가야금 ·대금 ·향피리 ·해금 ·장고 ·좌고 등이다. 특히 조선시대 행악(行樂)에 사용하던 곡은 여민락만(與民樂慢) 또는 만엽치요곡(萬葉熾瑤曲)이라 불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