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

에밀

요약 프랑스의 작가이며 사상가인 J.J.루소(1712~1778)의 교육론.
원어명 Émile ou de l'education

주제는 교육이지만, 동시에 루소의 인간론이며 종교론이기도 하다. 특히,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시인적 자질이 풍부한 루소의 천분(天分)에 의해 풍부한 문학성을 보여준다. 부제(副題)는 〈교육에 대해서〉(1762)이다. 전편을 5부로 나누어, 에밀이라는 고아가 요람에서 결혼에 이르기까지, 이상적인 가정교사의 용의주도한 지도를 받으며 성장하는 과정이 적절히 묘사되면서 논술되어, 문학적인 매력과 교양 소설의 흥미를 갖추고 있다. “조물주의 손에서 떠날 때는 모든 것이 선(善)하지만, 인간의 손으로 넘어오면 모든 것이 악(惡)해진다”라고 하는 유명한 서두(序頭)의 한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주안점은 외적 환경(사회·가족)이나 습관·편견의 나쁜 영향에서 어린이를 보호해서, 그의 이른바 ‘자연’의 싹을 될 수 있는 대로 자유롭고 크게 뻗어나가게 하자는 데 있다.

이러한 취지는 영·유아(嬰幼兒)에게 포대기를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고, 아기에게는 어머니의 젖을 먹이도록 권하며, 어린이를 어린이로서 처우하라는 주장으로 나타난다. 또한, 유아에게는 신체 단체 및 감각 훈련, 소년에게는 직업 지적 교육을 주로 하여, 적극적인 도덕관념이나 진리를 가르치지 말고 이성(理性)에의 준비를 행하는데 그치도록 권하였으며, 이것을 소극(消極) 교육이라고 불러, 가장 중요한 교육단계로 간주하였다. 서적이나 언어에 의한 교육을 피하고 어디까지나 경험을 존중해서, 소년기의 지적(知的) 교육 분야에서도 실물교육을 주로 하고, 감정육성·직업적 기술·수공업 기능의 수득(修得)을 주장하였다. 특히, 제4부의 16∼18세에 이르는 청년기 도덕교육을 위해서 쓴 독자(獨自)의 자연종교(自然宗敎) 이론 ‘사보와인 부사제(副司祭)의 신앙고백’은 그의 합리성·비종문성(非宗門性)·정열·관용성 때문에 민중의 마음에 강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루소가 주장한 것을 한마디로 집약하면, ‘자연(自然)으로 돌아가라’고 하는 것이다.

즉 당시 보편적으로 행하여졌던 주입식의 지육에 편중된 교육에 반대하고, 전인교육(이를테면 체육·품성 등의 교육)을 중시하며, 인간 중에서 가장 순수하게 자연성을 간직하고 있는 어린이에게 그 본래의 자연과 자유를 되돌려 줄 것을 주장한 것이다. 요컨대 《에밀》은 J.로크나 E.B.콩디악의 영향 아래, M.E.몽테뉴, F.라블레 등의 르네상스 자연주의적·자유주의적 교육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당시의 봉건적인 귀족사회를 위한 교육, 스콜라 철학적인 서적편중의 형식적 교육에 대해서 근대적인 인간교육의 이념을 제공한 것이었다. 《에밀》은 I.칸트, J.H.페스탈로치 등을 통해서, 교육사상사·철학사상사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