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제재배

억제재배

[ retarding culture , 抑制栽培 ]

요약 채소나 화훼 등을 보통의 재배시기보다 늦추는 재배기술.

불시재배(不時栽培) 또는 만숙재배라고도 한다. 생산시기를 빠르게 하는 촉성재배에 대응되는 말이다. 여름철 고랭지대에서 재배하는 고랭지 억제와 가을철에 난지 또는 도시근교에서 비닐 등을 이용한 간단한 인공열을 수확시기에 가하는 재배도 포함된다. 억제재배에 의한 생산시기에는 보통재배에 의한 생산물의 출하가 적으므로 시장의 수요가 많다. 그 반면에 재배가능지역이 좁기 때문에 생산량이 한정되므로 생산물은 비싸게 매매된다. 그러나 기술과 노동력 및 생산비가 많이 든다. 따라서 비싼 과채류(果菜類)가 주체가 되고 엽채류 ·근채류 또는 특수한 억제연화재배도 한다. 화훼류에 있어서는 개화를 억제하기 위한 특수재배도 한다. 채소에서는 조생종을 이용하며 또 기호품적 색채를 중요시하고 수확량보다 외관과 품질이 좋은 것을 생산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역참조항목

조생종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