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유봉

어유봉

[ 魚有鳳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집의 ·호조참의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한원진과 이간이 심성변(心性辨)으로 논쟁할 때, 인성과 물성은 동일하게 오행의 이치를 갖추었다고 주장하며 이간의 편에 섰다.
출생-사망 1672 ~ 1744
본관 함종(咸從)
순서(舜瑞)
기원(杞園)
주요저서 《기원집》 《경설어록》 《오자수언》 《논어상설》 등

본관 함종(咸從). 순서(舜瑞). 기원(杞園). 경종의 장인 유구(有龜)의 형이다.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사마시를 거쳐, 1699년(숙종 25) 대과(大科)에 응시했다가 시험의 부정을 보고 과거를 단념하였다. 뒤에 내시교관(內侍敎官)이 되었으나 사퇴하였다가 건원릉(健元陵) 참봉으로 부임, 1719년 집의(執義)를 거쳐 양주(楊州)목사에 전임되자 사퇴하였다. 1722년(경종 2) 신임사화로 스승 김창협이 화를 입자 신원(伸寃)을 상소하였고, 1732년(영조 8) 사복시정(司僕寺正)을 거쳐 집의(執義)가 되고, 1734년 과거4참의, 이듬해 승지에 이어 찬선(贊善)을 지냈다. 조선 후기의 거유(巨儒)로서 한원진(韓元震)과 이간(李柬)이 심성변(心性辨)으로 논쟁할 때 이간의 편에 서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은 동일하게 오행(五行)의 이치를 갖추었다고 주장하였다. 문집에 《기원집》, 저서에 《경설어록(經說語錄)》 《오자수언(五子粹言)》 《논어상설(論語詳說)》 《어류요략(語類要略)》 《대월첩(對越帖)》 《풍아규송(風雅閨誦)》 등이 있다.

역참조항목

어석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