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르트헤이트

아파르트헤이트

[ Apartheid ]

요약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극단적인 인종차별정책과 제도.

원래는 분리·격리를 뜻하는 아프리칸스어(語)이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약 16%의 백인이 84%의 비백인(非白人)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차별해 왔다. 백인우월주의에 근거한 이 인종차별은 17세기 중엽 백인의 이주와 더불어 점차 제도로 확립되었는데, 1948년 네덜란드계 백인인 아프리카나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당의 단독정부 수립 후 더욱 확충·강화되어 아파르트헤이트로 불리게 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는 반투 홈랜드(Bantu Homeland) 정책으로 대표되듯 인종격리정책에 의한 인종별 분리의 발전을 추진하는 한편, 다인종사회적 현장 속에서 반투 정청법(政廳法, 1951)·유권자분리대표법(1956) 등에 의하여 유색 인종의 참정권을 부정하고, 산업조정법(1956)·패스포드법(1952)·원주민법 수정법(1952)·이인종 혼인금지법(1949)·집단지역법(1950) 등에 의하여 경제적·사회적으로 백인의 특권 유지·강화를 기도한 것이다.

국민당 정권은 국제적 비난 속에서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강화해 왔는데, 1975년 이후 포르투갈 식민지 해체로 고립상황이 심화되었기 때문에 차별을 완화하면서 인종격리제도의 완성을 서두르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홈랜드에 독립을 부여하는 정책이 그 대표적인 것인데, 그 목적하는 바는 절대다수인 아프리카인을 분리함으로써 형식상 소수백인적 상황에서 탈각(脫却)하려는 데에 있었다. 그러나 국제연합은 당연하게 이를 비난하고 나섰고, 국내에서도 1976년 6월의 소웨토(요하네스버그 주변의 흑인집단거주지역) 폭동 이후 아프리카인을 중심으로 하는 유색인종의 투쟁이 강화·확대되었다.

반투 홈랜드(Bantu Homeland)

1959년에 성립한 반투 자치촉진법에 의거 1,800만의 아프리카인을 종족별로 10개 지정지에 격리·수용하고 명목상 자치권을 부여하나 실제로는 백인의 원격조정하에 이를 두려고 한 정책이다.

홈랜드에는 전국 면적의 13%에 해당하는 박토(薄土)만이 배분되어 자치구로서의 생존가능성이 보장될 수 없으므로 많은 아프리카인은 객지를 떠도는 날품팔이가 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백인 경제는 종전대로 저렴한 아프리카인의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 후 소수백인지배에 대한 내외의 압력이 제고되기 시작한 1974년 가을부터 남아프리카 정부는 홈랜드에 독립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1976년 트란스케이, 1977년 포프타츠와나, 1979년 벤다에 각각 독립이 주어졌다.

트란스케이(Transkei)

트란스케이는 반투 홈랜드 정책에 의해 1976년 10월에 독립이 부여된 최초의 아프리카인 홈랜드이다. 면적 4만 1620㎢. 코사족(族)을 중심으로 하는 175만의 인구 중 36만이 백인지역을 떠도는 날품팔이이며, 그 소득이 국가수입의 70%를 차지하는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의존도는 극히 높다. 유엔 총회는 이 독립을 무효화하는 한편, 전가맹국에 대하여 트란스케이와 접촉을 금지하는 결의를 채택하였다. 트란케이는 1994년에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