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보가드로수

아보가드로수

[ Avogadro's number ]

요약 1 mol(몰)의 기초 단위체(elementary entities: 분자, 원자, 전자, 이온, 유리기 등) 속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이다.

처음에는 기체에 관한 아보가드로법칙으로부터 결정되었으나, 분자뿐만 아니라 이온, 원자 등으로 되어 있는 모든 물질(고체 및 액체도 포함)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아보가드로수는 보통 NA으로 표시하며 첨자 A는 이탈리아의 화학자 아보가드로(Amedeo Avogadro, 1776~1856)를 기리기 위해 글자를 따온 것이다.

이 수의 2018년 12월의 측정값은 6.022140857x1023mol-1이었으나 2018년 11월 국제도량형총회((Conference generale des poids et mesures, CGPM)에서 몰을 재정의하면서 이 값은 6.02214076x1023mol-1으로 고정되어 2019년 5월 20일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아보가드로수의 측정

아보가드로수를 얻는 방법은 라듐의 α붕괴에 의한 헬륨 생성량을 측정하여 구하는 방법,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을 이용한 기본전하량(基本電荷量)의 결정 및 전기분해로부터 얻은 패러데이상수를 함께 써서 구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더욱 정밀도가 높은 방법으로는 결정(예컨대 다이아몬드)의 단위격자를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정확히 결정한 다음, 그 속의 원자 수를 구하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