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유합

신증유합

[ 新增類合 ]

요약 조선시대의 한자 학습 입문서.
구분 활자본
저자 유희춘
시대 조선 중기(1576)
소장 성암고서박물관

활자본. 2권 1책. 조선 초기부터 《천자문(千字文)》 《훈몽자회(訓蒙字會)》 등과 함께 초학서(初學書)로 사용되던 저자 미상의 《유합(類合)》을 선조 때의 학자 유희춘(柳希春)이 30여 년 간 증보하여 1576년(선조 9)에 완성·간행함으로써 널리 유포되었다.

편찬 동기는 종래의 《유합》에 요긴한 한자가 많이 빠져 있고, 불교를 존숭하고 유교를 배척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었다. 책의 내용은 천문·지리를 비롯하여 수목·인륜(人倫)·의복 등 모든 사물을 27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한자 3,000자를 배치하여 글자마다 사성(四聲)을 명시하였으며, 글자 밑에는 한글로 음(音)과 훈(訓)을 두 가지씩 달았다. 따라서 다른 유서(類書)와 달리 고음(古音)과 당시 음의 차이, 한 글자에 대한 두 가지의 뜻, 그 뜻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국어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목판본 원본은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조항목

유합, 유희춘

역참조항목

훈몽자회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