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티읕. 한글 자모(字母)의 열두째글자.

자음(子音)의 하나.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끝을 잇몸에 대어 입길을 막았다가 숨을 불어 내면서 터뜨려 내는 소리이며, 이때 강한 기(氣)를 수반한다. 따라서, 발음기관상으로 혀끝소리 곧 설단음(舌端音)이고, 발음법상으로는 거센터짐소리 곧 파열격음(破裂激音)이며, 울림의 유무로는 무성음(無聲音)이다.

받침으로 끝나거나 폐쇄음(閉鎖音) 앞에서는 윗잇몸에 대었던 혀끝을 떼지 아니하여 'ㄷ' 폐쇄와 중화(中和)된다. 《훈민정음(訓民正音)》 초성체계에서 성음(聲音)의 청탁(淸濁)으로는 차청(次淸)이며 조음상(調音上)으로 설음(舌音)인데, 《훈민정음주해(訓民正音註解)》에서는 “ㅌㅌ 본문 이미지 1 혀쏘리니 呑ㅌ 본문 이미지 2ㄷ字ㅌ 본문 이미지 3ㅌ 본문 이미지 4 펴아 나ㅌ 본문 이미지 5 소리 ㅌ 본문 이미지 6니라(ㅌ舌音呑字初發聲)”라고 그 음가를 설명하였다. ‘티읕’이라는 자모 명칭은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부터이며,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에서는 ‘ㅌ’을 초성독용8자(初聲獨用八宇) 속에 포함시키고 ‘티(治)’라고 호칭하였다. 그 제자원리(制字原理)는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ㄴ’을 기본자로 하고, 거기에 획을 더하여 ‘ㄷ’을, 또다시 획을 더하여 ‘ㅌ’을 만들었는데, 이는 ‘ㄴ’에 비하여 ‘ㄷ’이, ‘ㄷ’에 비하여 ‘ㅌ’의 소리가 더욱 거센 까닭이다.

훈민정음의 종성으로는 입성(入聲)이며(所以ㆁㄴㅁㅇㄹㅿ六字爲平上去聲之終 而餘皆爲入聲之終), 종성8자제한 규정에는 들어 있지 않다(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不足用也).

역참조항목

격음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