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바이

스윙바이

[ swingby ]

요약 목표로 하는 행성, 또는 중도 행성의 중력의 장(場)을 이용하여 진로나 궤도를 제어하는 우주선의 비행경로.

중력턴(turn)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우주탐사기가 달이나 행성 등 큰 천체의 곁을 통과하는 것을 플라이바이(flyby)라고 하며, 이때 천체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우면 서로의 인력에 의해 탐사기는 속도와 방향이 변화하여 궤도가 바뀐다. 이후 우주선은 특정한 방향으로 다시 비행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우주선 자체의 연료에 의하지 않고 행성의 인력을 이용, 궤도를 바꾸는 것을 스윙바이라고 한다. 스윙바이는 접근했을 때의 상대의 위치·속도 등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1차로 불충분할 때는 다음 행성에 접근하여 다시 궤도변경을 행할 수 있다.

스윙바이는 아주 멀리 있는 행성의 탐사에는 불가결한 것으로, 1974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매리너 10호가 처음 시도했으며, 이후 보이저 2호가 스윙바이하여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과 조우한 후, 1988년 8월 25일 다시 스윙바이하여 우주공간으로 영원히 사라졌다.

역참조항목

메신저호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