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곤충

수생곤충

[ aquatic insect , 水生昆蟲 ]

요약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
물잠자리

물잠자리

동물
절지동물
곤충류

곤충류는 계통발생면에서 보면, 본래는 육생(陸生)이며, 2차적으로 다시 수중생활을 하게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적 원시적인 하루살이·잠자리 등의 유충도 수생이다. 수생곤충에도 일생 동안 수중에서 생활하고, 이동 또는 월동할 때에 물을 떠나는 것과 유충시대 또는 유충과 번데기시대를 수중에서 지내는 것이 있다. 이들 곤충의 체형(體形)이나 호흡기·다리 등은 수중에서의 생활방법이나 환경에 의하여 각각 적응되는데, 그 정도나 형식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성충도 수중에서 생활하는 것에는 수면 밑에서 배면을 위로 하여 헤엄치는 송장헤엄치개, 길쭉하고 꼬리 끝에 긴 호흡관이 있는 게아재비, 대형으로 탐욕스러운 물장군, 수컷이 등에 알을 업고 헤엄치는 물자라, 여름에 등불에 날아드는 방물벌레, 수면을 재빨리 선회하는 물맴이, 수면에 얼굴을 내밀었다 금방 물밑으로 숨어버리는 물방개, 수중을 천천히 헤엄치는 물땡땡이 등 딱정벌레류가 주이다.

호흡법은 날개와 배부 사이에 공기를 저장하는 물방게 ·방물벌레 등, 호흡관을 수면에 내서 호흡하는 게아재비·장구애비 등, 배면의 체표에 밀생된 가는 털에 얇은 공기층을 저장하여 호흡하는 것 등이 계통과는 관계없이 발달하여 있다. 이것은 유충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기관아가미를 가진 유충을 여러 가지 곤충군에서 볼 수 있다. 매미류[同翅類]는 유충이 성충과 같은 형태인데, 딱정벌레류에서는 물맴이·물진드기·물땅땅이의 일부 등은 기관아가미로, 물방개는 호흡관으로 호흡하고 있다.

유충기 또는 유충·번데기의 두 시기에 수중생활을 하는 것이 많다. 하루살이류·잠자리류·강도래류·날도래류 및 모기·파리매·등에 등의 파리류[雙翅類] 등에서 볼 수 있고, 대부분은 기관아가미로 호흡하는데 피부호흡을 하는 것도 있다. 모기나 딱정벌레인 잎벌레의 일종에서와 같이 호흡관을 쓰는 것도 있다. 또 파리매 등의 번데기와 같이 기문부(氣門部)가 가늘게 신장하여 실 모양의 아가미가 된 것도 있다. 소금쟁이 등 수면 위에서 사는 것은 수생곤충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반수생(半水生)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카테고리

  • > >

관련이미지

애기좀잠자리

애기좀잠자리 잠자리과. 출처: doopedia.co.kr